한림대학교러시아연구소 공지사항입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공동 연구사업 수행 | ||||||||
---|---|---|---|---|---|---|---|---|
작성일 | 2019-12-02 | 조회수 | 4198 | |||||
첨부파일 | ||||||||
연구개요
1. 연구사업 추진 배경 및 필요성 가. 연구사업 추진 배경 1) 정부는 북방경제권과의 협력 강화로 신성장동력 확보 및 평화・공동번영 기반을 공고히 하려고 함. 그동안 민・관 차원에서 북방협력 대상국가들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사업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2) 현 시점에서는 민・관의 협력 현황과 성과를 평가하고 장애요인들을 제거해서 향후 북방협력 대상국가(특히,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들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증대시켜야 할 것임. 나. 연구 필요성 1) 기존의 북방협력의 중장기 로드맵, 기본추진 방향 및 전략 등에 대한 연구에서 벗어나 이제는 북방협력 대상국별 특성을 감안한 국가별 협력 전략과 분야별 세부과제를 도출할 필요가 있음. 2) 이를 위해 여러 분야에서 협력 현황과 그 성과를 평가하고, 협력 장애요인들을 분석해서 분야별로 국내 기업들의 협력 확대를 위한 과제별로 실행 전략(action strategy)과 계획(action plan)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2. 연구 목적 가. 본 연구는 북방협력 대상 국가에 대해 맞춤형 진출 전략과 협력 과제를 마련하여 정부 정책의 방향성 설정과 기업 진출 활성화를 도모하며, 중앙아시아 2개국(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과 우크라이나의 외교 및 경제협력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삼음. 나. 상기 3개 국가(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의 투자 수요를 파악하고, 경쟁국의 진출 전략을 비교분석하고, 그리고 지역별 SWOT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함. 3. 연구 내용 가. 주요 연구내용 1)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등 3개국의 경제・교역 분야의 특성과 기본적인 협력 방향
2) 정부의 신북방정책의 협력 비전과 기본추진 방향을 바탕으로 이들 3개국과의 협력 비전과 구체적인 협력 목표 수립
3) 3개국의 국가별 현황, 한국과의 교역・투자 현황 및 협력 실적에 대한 SWOT 분석
4) 3개국의 국가별 한국과의 협력가능 분야 도출, 분야별로 민・관 차원의 실행 전략(strategy) 및 계획(action plan) 수립 |
다음글 | 사하(야쿠티야) 공화국 경제편람 발간 |
---|---|
이전글 | 2019 시베리아 연구 국제 학술회의(2019.6.25-27) |